2020년 6월 25일 6·25전쟁 70주년 행사에 참석한 사람들은 가슴에 ‘122609 끝까지 찾아야 할 태극기’ 배지를 달았다. 당시 국가보훈처는 6·25전쟁 참전 용사 중 아직도 시신이 수습되지 않은 희생자가 12만 2,609명이라는 것을 확인했다. 결국 참전 용사 유해를 발굴했을 때 마주하게 되는 태극기의 모습을 캠페인의 상징 배지로 만든 것이다. 영연방 국가들의 포피 캠페인도 제1차 세계대전의 전투 현장에 핀 양귀비꽃 한 송이를 주제로 존 매크레이 중령이 쓴 「플랑드르 들판에서」라는 추모시에서 시작되었다. 이처럼 보훈 캠페인은 애국심을 표현하는 능동적인 실천이다. 그리고 자유를 위해 목숨을 바친 분들을 기억하고 그들에게 감사하는 마음을 갖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특정일이 아닌 6월 6일 현충일부터 6·25전쟁 유엔군 참전의 날이자 정전협정 체결일인 7월 27일까지 보훈의 상징을 자유롭게 달고 다니는 문화가 정착되도록 해야 한다.
캠페인은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세상을 바꾸자’는 이상적인 구호를 우리의 귓가에 ‘작은 외침’으로 다가오게 해주는 능동적인 활동이다. 환경과 공동체와 지속 가능성을 고민하는 시대,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문제 해결을 위해 끊임없이 도전하는 공동체와 그들이 펼쳐가는 창의적인 캠페인 이야기에 주목해야 할 때다. 그것은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이 늘 ‘진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건강, 환경, 행복이라는 변치 않는 가치를 반복적으로 지향하면서도 궁극의 가치에 도달하지 못하는 것은 오히려 삶의 환경이 끊임없이 가치에 반하는 공공 문제에 직면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공공 문제와 사회적 가치에 지독한 갈증을 느낄 수밖에 없는 현실에 직면해 있다.
『캠페인 인문학』은 우리가 직면한 수많은 공공 문제를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해결해나가려는 노력의 흔적을 담아냈다. 캠페인이란, 한 국가와 사회 더 나아가 인류가 지속 가능성을 제고하는 데 필요한 의식의 복원이나 행동 개선을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작은 외침’이다. 제1장은 ‘중 2까지 기다리자 캠페인’부터 ‘대화가 힘이다 캠페인’까지, 제2장은 ‘사회적 거리 두기 중 예술품 만들기 캠페인’부터 ‘풋볼 케이스 캠페인’까지, 제3장은 ‘내 곁에 캠페인’부터 ‘히포시 캠페인’까지, 제4장은 ‘모벰버 캠페인’부터 ‘코리아 그린푸드 데이 캠페인’까지, 제5장은 ‘플래닛 러브 라이프 캠페인’부터 ‘스티커 쇼크 캠페인’까지, 제6장은 ‘포피 캠페인’부터 ‘멸종 다시 쓰기 캠페인’까지 세상을 바꾼 100가지 캠페인 이야기를 전하고 있다. 이를 통해 ‘세상을 바꾸는 캠페인 이야기’의 주인공은 바로 우리이며, 우리는 세상을 바꿀 작은 힘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좋은 선택을 이끄는 개입🤝 오늘은 공공소통연구소 이종혁 대표가 전해주는 공공디자인 속 넛지(NUDGE)*에 대해 이야기를 들어봅니다. 👂🏻 *넛지(NUDGE) : 부드러운 개입으로 사람들이 더 좋은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법 미처 몰랐던, 일상 속에서 공유하고 있는 공공디자인의 가치 [명사특강]은 공공디자인에 대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이야기를 들어보는 시리즈입니다.
공공소통연구소 이종혁 소장의 신간 안내입니다.
캠페인은 세상을 어떻게 바꾸는가?
“캠페인은 개인과 공동체의 ‘작은 외침’이다”
2020년 6월 25일 6·25전쟁 70주년 행사에 참석한 사람들은 가슴에 ‘122609 끝까지 찾아야 할 태극기’ 배지를 달았다. 당시 국가보훈처는 6·25전쟁 참전 용사 중 아직도 시신이 수습되지 않은 희생자가 12만 2,609명이라는 것을 확인했다. 결국 참전 용사 유해를 발굴했을 때 마주하게 되는 태극기의 모습을 캠페인의 상징 배지로 만든 것이다. 영연방 국가들의 포피 캠페인도 제1차 세계대전의 전투 현장에 핀 양귀비꽃 한 송이를 주제로 존 매크레이 중령이 쓴 「플랑드르 들판에서」라는 추모시에서 시작되었다. 이처럼 보훈 캠페인은 애국심을 표현하는 능동적인 실천이다. 그리고 자유를 위해 목숨을 바친 분들을 기억하고 그들에게 감사하는 마음을 갖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특정일이 아닌 6월 6일 현충일부터 6·25전쟁 유엔군 참전의 날이자 정전협정 체결일인 7월 27일까지 보훈의 상징을 자유롭게 달고 다니는 문화가 정착되도록 해야 한다.
캠페인은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세상을 바꾸자’는 이상적인 구호를 우리의 귓가에 ‘작은 외침’으로 다가오게 해주는 능동적인 활동이다. 환경과 공동체와 지속 가능성을 고민하는 시대,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문제 해결을 위해 끊임없이 도전하는 공동체와 그들이 펼쳐가는 창의적인 캠페인 이야기에 주목해야 할 때다. 그것은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이 늘 ‘진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건강, 환경, 행복이라는 변치 않는 가치를 반복적으로 지향하면서도 궁극의 가치에 도달하지 못하는 것은 오히려 삶의 환경이 끊임없이 가치에 반하는 공공 문제에 직면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공공 문제와 사회적 가치에 지독한 갈증을 느낄 수밖에 없는 현실에 직면해 있다.
『캠페인 인문학』은 우리가 직면한 수많은 공공 문제를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해결해나가려는 노력의 흔적을 담아냈다. 캠페인이란, 한 국가와 사회 더 나아가 인류가 지속 가능성을 제고하는 데 필요한 의식의 복원이나 행동 개선을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작은 외침’이다. 제1장은 ‘중 2까지 기다리자 캠페인’부터 ‘대화가 힘이다 캠페인’까지, 제2장은 ‘사회적 거리 두기 중 예술품 만들기 캠페인’부터 ‘풋볼 케이스 캠페인’까지, 제3장은 ‘내 곁에 캠페인’부터 ‘히포시 캠페인’까지, 제4장은 ‘모벰버 캠페인’부터 ‘코리아 그린푸드 데이 캠페인’까지, 제5장은 ‘플래닛 러브 라이프 캠페인’부터 ‘스티커 쇼크 캠페인’까지, 제6장은 ‘포피 캠페인’부터 ‘멸종 다시 쓰기 캠페인’까지 세상을 바꾼 100가지 캠페인 이야기를 전하고 있다. 이를 통해 ‘세상을 바꾸는 캠페인 이야기’의 주인공은 바로 우리이며, 우리는 세상을 바꿀 작은 힘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출처: http://www.yes24.com/Product/Goods/110712054
더보기
2022년 6월 14일 _ ㈜한국리서치(대표 노익상)와 공공소통연구소(소장 이종혁)는 상호 공공소통 분야의 조사와 학술연구 협력사업 추진을 통해 공공소통 조사 및 연구사업에 대한 학술교류에 기여하기 위하여 협약을 체결하였습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이 각각 축적해 온 공공소통 관련 조사 정보를 상호 공유하고, 이를 확대 발전시키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인적교류 및 상호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운영함으로써 양 기관의 지속적인 발전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양 기관은 향후 공공소통 전문 조사에 대한 공동 과제 발굴과 이행, 관련 정보 공유를 비롯해 공공 소통 우수 연구 및 조사 사례 공유 등 공공 소통 분야의 전문화와 발전, 조사와의 연계를 통한 전략 방안 고도화를 위해 함께 노력해 나갈 예정입니다.
공공소통연구소에서는 2021년 11월 아동권리보장원 컨설팅을 통해 2022년 어린이날 선포 100주년 계기 아동권리보장원의 통합 이미지와 역할 가치 향상을 위해 [365일 아동의 날]캠페인 메시지 및 BI를 제작해 드렸습니다.
[100번째 맞는 어린이날 다짐 캠페인]
자세한 사항은 아동권리보장원 홈페이지를 참조해 주세요.
공공소통연구소는 2022년 3월 부터 CBSi 노컷뉴스와 함께 캠페인 저널리즘 [눈]이라는 뉴스와 캠페인의 콜라보 콘텐츠 활동을 전개합니다.
씨비에스아이 노컷뉴스와 공공소통연구소가 함께 만드는 새로운 콜라보
상식으로 바라보는 일상생활 속 작은 문제 제기
국내의 이슈 뿐 아니라 세계 각국에서 펼쳐지는 다양한 캠페인도 소개
LOUD프로젝트라는 실천적 공중 주도 캠페인 활동을 기반으로 언론과의 콜라보를 통한 대안적 저널리즘 영역의 작은 역할까지 활동의 폭을 넓히게 되었습니다.
많은 분들의 관심을 부탁드립니다.
ESG, CSR 등 기업 관련 캠페인 활동에 관한 정보 등도 공유해 주시면 [눈] 채널을 통해 소개할 수 있으니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눈]채널 관련 문의 : CBSi 노컷뉴스 김재두 PD e-mail: noon.grrr@gmail.com
출처: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유튜브 채널 내 [명사특강]
좋은 선택을 이끄는 개입🤝 오늘은 공공소통연구소 이종혁 대표가 전해주는 공공디자인 속 넛지(NUDGE)*에 대해 이야기를 들어봅니다. 👂🏻 *넛지(NUDGE) : 부드러운 개입으로 사람들이 더 좋은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법 미처 몰랐던, 일상 속에서 공유하고 있는 공공디자인의 가치 [명사특강]은 공공디자인에 대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이야기를 들어보는 시리즈입니다.
🔹 심리학으로 바라본 공공디자인 👉🏻김경일 교수편 다시보기 https://www.youtube.com/watch?v=R9rqZ...
🔹 물리의 눈으로 본 공공디자인 👉🏻 김상욱 교수편 다시보기 https://www.youtube.com/watch?v=vdmE9...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넛지 #공공소통연구소 #소통 #이종혁
한국 공예*디자인 문화 진흥원의 정기 간행물인 [공예+디자인 제51호] 에 이종혁 소장님 인터뷰 공유드립니다.
관련 인터뷰 전문은 한국 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사이트를 통해 미리보기 및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아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미리보기]로 연결됩니다.
이번 호에는 [공공디자인을 만드는 사람들] 코너를 통해 다양한 분야의 공공 디자인 관련 전문가들이 소개되었으니 많은 전문가들의 생각을 엿보시기 바랍니다.
공공소통연구소는 [국민이 주인인 정부]의 실현 이라는 정부혁신의 가치를 온전히 전달함과 동시에 향후에도 지속적인 캠페인 브랜드로 활용이 가능한
통합 정책 브랜드 전략 차원에서 [혁신] 안에 [국민]을 중심에 두는 BI를 개발하였습니다.
* 프로젝트명 : 정부혁신 BI 컨셉 도출 및 디자인
* 시기 : 2021년
* 주관기관 : 행정안전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채널 다큐멘터리 인터뷰 및 자문
선거마케팅을 이야기하다 [대통령선거, 마케팅과 만나다]
제20대 대통령선거 특집 다큐멘터리 "대통령선거, 마케팅과 만나다"
https://youtu.be/D_TIi-E4rNY
✔ 한국선거방송 채널 정보 KT olleh 273 , LGU+ 256 , SK btv 케이블 205 , KCTV 354
본 방송을 통해 우리나라 대통령 선거 캠페인의 역사와 해외 사례를 통한 전략을 엿보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선거 캠페인 전략을 선거 마케팅의 관점에서 접근하면 자연스럽게 정책과 후보자에 대한 합리적 선택과 평가의 가능성을 그만큼 높여줄 수 있을 겁니다.
전 세계 열린 정부에 대해 논의하는 2021 '열린정부파트너십 글로벌 서밋'
2021년은 우리나라가 11대 의장국으로 행사를 주최하였습니다.
이 행사에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을 비롯한 11개 나라 정상 등 연사 200여 명이 참여했습니다.
안토니오 구테흐스 UN 사무총장과 세계보건기구, WHO 사무총장이 특별연설을 했습니다.
주요 프로그램인 전체회의는 시민영역·국민참여 강화, 반부패, 포용적 디지털 혁신 등 3개 주제로 열렸습니다.
2021 OGP 글로벌 서밋 코리아의 BI를 공공소통연구소가 개발하였습니다.
https://www.ogpsummit.org/
공공소통연구소에서는 2021년 (사)한국PR협회가 매년 시상하는 [한국PR대상]의 상패 기준 정립 및 기획, 제작 등 일련의 과정에 재능을 기부하고 지원했습니다.